메리 스크랜톤(Mary Fletcher
Benton Scranton, 1832-1909)은
미여선교회가 한국에 파송한 첫
번 째 선교사였다. 아버지 벤톤과
오빠는 모두 감리교회 목사였다.
그녀는 20살 되던 1853년 9월에
윌리엄 탈콧 스크랜톤(William
Talcott Scranton)과 결혼해서
아들을
낳고
1872년에
사별했으며 52세의 늦은 나이에
아들 윌리엄 스크랜톤과 함께
선교사로 자원해서 1885년 6월
20일 입국했다. 메리 스크랜톤은
대학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당대의
관습과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나 끓어오르는 열정과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선교적 사명을 훌륭하게 감당했던 여성이었다.
메리 스크랜톤은 1886년 5월 31일 정동 감리교 선교부지에서 단
1명의 학생을 데리고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했고
11월에는 새 한옥교사로 이전했는데 이렇게 성장하기 시작한 학교를
보고 명성황후는 그 다음해 이화(梨花)라는 교명을 내려 주었던 것이다.
메리 스크랜톤은 윌리엄 스크랜톤이 여성 환자들을 돌보는데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많은 것을 발견하곤 훗날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과 의과대학으로 발전한 한국 최초의 여성 전문병원을 세울
계획과 준비를 마치고 드디어 1887년 새로 부임한 하워드와 더불어
보구여관을 창설했으며, 학교와 병원뿐만 아니라 전도부인회를
조직해서 지방 여러 곳을 순회하며 전도하고 많은 교회들을 설립했다.
스크랜톤은 1902년 6월에는 그녀가 세운 수원 종로교회에 딸린
초가집에서 삼일학교/매향학교를 시작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여성교육의 선구자였던 스크랜톤은 1909년 10월 8일 77세로 하나님의
품에 안겼다.
스크랜톤 모자가 의료와 교육선교를 통해 소망했던 것은 우리가 더
낫은 한국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한국적인 것들에 대하여 긍지를 갖게
되기를 바랐던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맞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