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춘식 목사의 선교 이야기 - page 9
멸망사
(1906)
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
헐버트의
우리나라
사랑은
그가
보여준
정치적
행보와
반일적
독립운동에
잘
반영되어
있다
.
그가
다른
선교사들과
마찰을
일으켜
가며
황성기독교청년회
(YMCA)
를
조직하고
초대회장을
역임했던
것도
대한
청년들을
의식화시키고
계몽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 1895
년
을미사변
이후
고종의
신변보호를
맡기도
했던
헐버트는
외국인
선교사로서
고종의
절대적
신임을
받고
1905
년에는
을사늑약이
무효임을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알리고
1907
년에는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주권회복과
일본의
침탈과
그
부당성을
세계에
선포하기
위해
밀사로
파견되기도
했었다
.
그는
이
때문에
일본의
농간에
따라
미국이
그를
송환하는
형식을
갖춰
우리나라에서
추방되었다
.
그러나
헐버트는
평생토록
우리나라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투쟁하고
헌신한
애국자였다
.
안중근
의사는
여순
감옥에서
헐버트를
가리켜서
그는
한국인으로서
하루도
잊을
수
없는
사람이라고
회고했었다
.
헐버트는
1950
년
3
월
1
일에
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인
태극장을
추서받았다
.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땅에
묻히기를
소원했던
헐버트
박사
!
양화진
그의
묘비에는
“
한국인
보다
한국을
더
사랑했고
자신의
조국보다
한국을
위해
더
헌신했던
빅토리아
풍의
신사
헐버트
박사
이곳에
잠들다
”
라고
되어
있다
.
1,2,3,4,5,6,7,8
10,11,12,13,14,15